단독저술

이야기 세계종교

posted Jan 13,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야기 세계종교

 : 당신은 그들의 종교를 얼마나 이해하는가

이길용 저 | 지식의날개(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책소개

종교적 진리논쟁에서 
허우적거리는 현대인을 위한
명쾌한 세계종교 해설서


이 세상에는 실로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고, 모든 종교는 인간의 사상과 생활방식을 지배할 만큼 위대한 힘을 가지고 있다. 종교 때문에 인류는 수천, 수만 년간 전쟁을 해 왔고, 아직도 종교가 다르다거나 경전의 해석에 차이가 있다는 이유로 서로를 비난하고 헐뜯기까지 한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 지긋지긋한 싸움을 이어 가야 하는가? 
대학에서 종교학을 가르치는 저자는 무엇보다 종교를 ‘이해’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학생들과 종교 이야기를 할라치면 종종 걷잡을 수 없는 ‘진리논쟁’에 빠지게 되며, ‘어느 종교가 참되냐?’에서부터 ‘어느 종교의 교리가 진리인가?’까지 쉽게 접점을 찾을 수 없는 주장과 물음만이 애처로이 허공을 가르는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라고 말한다. 정작 그런 방향 잃은 논의가 오가는 사이 바로 자기 옆에 살아 있는 종교의 실존을 제대로 알려고 하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저자는 이것을 서늘하지 못한, ‘뜨거운’ 종교담론의 한계라 진단한다.

이 책은 원시시대의 종교에서부터 고대종교, 자라투스트라의 종교, 이스라엘의 종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유교, 도교까지 우리가 상식적으로 꼭 알아야 할 것만 선별하여 다룬다. 마치 우리 앞에서 강의하는 듯한 착각을 하게 만드는 저자 특유의 문체는 우리로 하여금 종교를 통한 인간 이해의 지평이 확장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 : 이길용

경기도 안성에서 용의 해(1964)에 태어났다. 고등학교까지 줄곧 고향에 머물며 안성맞춤의 정기를 받고 자라났다. 중학교 3학년 때의 한 경험을 계기로 과학자가 되고 싶었던 시골 소년은 길을 완전히 틀어 신학도가 되기로 결정한다. 그 후 서울신학대학에 진학하지만, 3학년 때 종교학자 엘리아데의 책을 접하면서 전혀 다른 학문의 길을 선택한다. 그래서 졸업 후 서강대로 옮겨 다시 학부와 대학원에서 종교학을 전공한다. 
군복무를 마친 후 독일로 들어가 마르부르크(Marburg) 대학 철학부에서 종교학을 주 전공으로, 부전공으로는 철학과 사회학을 선택하여 본격적인 유학생활을 시작한다. 학위과정 중 같은 대학 신학부의 라이너 플라쉐(Rainer Flasche) 교수를 만나 소속을 신학부로 옮긴 뒤 태평천국과 동학을 비교하는 종교학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귀국 후에는 서울신대, 서강대, 한동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젊은이들과 학문적 교감을 나누다가 2009년부터는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한국종교학회와 동학학회의 총무이사를 맡고 있다. 
주 관심 분야는 ‘동아시아 종교사상과 전통’, ‘종교학 방법론’, 그리고 ‘해석학적 문화 비평’이며, 또한 제대로 된 [한국종교사상사]를 펴내는 오랜 꿈을 꾸고 있는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에바 오디세이」(2014), 「뇌과학과 종교연구」(2013), 「고대 팔레스타인의 종교세계」(2008), 「종교학의 이해」(2007), Taiping Tianquo und Donghag(2004), 「똥을 밥으로」(2003), 그리고 공저로 「골목길 근대사」(2015), 「식탁의 영성」(2013), 「종교근본주의」(2011),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2008), 「동서 종교의 만남과 그 미래」(2007), 「대화를 넘어 서로 배움으로」(2004) 등이 있으며, 「한국 종교학방법론의 과제와 전망」, 「하나님 나라와 시천주」, 「해월의 욕망 이해」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닫기

목차

책머리에

1. 왜 종교를 공부해야 하는가?
2. 원시시대의 종교
3. 고대사회의 종교
수메르의 종교
바빌로니아의 종교
고대 이집트의 종교
고대 가나안의 종교
4. 자라투스트라의 종교
5. 이스라엘의 종교
6. 그리스도교
7. 이슬람
8. 힌두교
9. 불교
10. 중국의 종교
유교
도교

읽어볼 만한 책

출판사 리뷰

 

과학과 종교, 그리고 죽음……

18세기 유럽의 계몽주의자들은 종교가 곧 없어질 것이라며 엄청나게 떠들어 댔다. 그런데 오늘날의 실정은 어떠한가? 종교가 사라지기는커녕 세계인구의 84%가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는 자신이 믿는 종교가 진리라며 ‘신의 이름’으로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비인간적인 사건이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왜 인간은 이처럼 종교로부터 좀체 자유롭지 못한 것인가? 대기권 밖으로 위성을 쏘아 대고, 달나라 표면에 발자국을 남기며, 지구촌 구석구석의 사건?사고를 실시간으로 살필 수 있는 이 개명한 세상에서 도대체 사람들은 또 무엇이 필요하고 아쉬워서 종교를 떠나지 못하는 것일까? 사물의 구성 원리도 이제 알 만큼 알았고, 생명공학과 의학의 발달은 복제인간의 등장과 불치병의 완치를 코앞에 두고 있다고 호들갑을 떨 정도인데, 여전히 사람들은 종교의 그늘에 머물러 있다니! 이는 도대체 무슨 이유인가? 

그것은 바로 과학으로도 풀어낼 수 없는 인류의 영원한 숙제, ‘죽음’ 때문이다. 인류사를 통틀어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사후세계가 어떠한지 아무것도 모르는 인간의 상상력이 종교로 발전한 것이며, 종교가 다양한 이유는 일련의 인간집단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방법의 차이에 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종교가 진짜냐고 논쟁을 벌이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어리석은 짓이다. 종교는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이고, 가치관이며, 또 세계관이다. 현대 사회에서 종교에 대한 이야기는 철저히 ‘문화적’이고 ‘이해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만이 ‘종교문맹’이라 불리는 현대인의 질병을 치유하는 유일한 길이다.

인간이 종교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인간은 인지적 동물이므로 자신이 ‘이해’한 세상을 ‘예측 가능한 것’으로 재구성하려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야만 마음이 편하고 알 수 없는 미래의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린아이가 어른이 되면서 순수함을 잃어버리듯이, 모든 인간은 세계를 ‘이해’한 순간 ‘세속적’인 존재가 된다. 그런데 우리가 속한 세계에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당연히 우리는 그것을 이해 가능한 영역으로 끌어들이려 할 것이다. 하지만 ‘죽음’은 아무리 노력해도 이해하거나 경험해 볼 수 없다.

종교는 바로 이 ‘죽음’에 대한 공포로부터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신과 함께라면 인간은 죽지 않는다고, 그리고 신이 내건 조건을 충실히 따르면 죽음 정도는 쉽게 넘어설 수 있다고, 혹은 죽음을 경험하는 주체가 존재 하지 않기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아니면 나는 죽어도 나의 후손은 끈질기게 살아남아 결국 죽음에 치이지 않을 수 있다고, 어떤 이는 아예 죽지 않게끔 몸을 튼튼히 유지할 수 있다고, 이도저도 아니면 죽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도록 해 주는 약을 만들어 버리면 되지 않느냐고 종교는 여전히 죽음을 이기는 지혜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이것이 모든 사람을, 심지어 무종교인이라 주장하는 사람들까지도 종교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닫기

 

x978892001804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