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베토벤의 <기쁨의 노래>

    앞으로 이 노래를 여러 미디어에서 자주 듣겠지. 베토벤의 9번 교향곡 합창 제 4 악장. 베토벤의 치밀한 계산이 빛을 발하는 작품.. 느슨했던 3악장이 마치자 마자 단조의 빠른 중저음이 청중의 가슴을 쓸어내린 후, 곧 짧지만 강한 4악장의 주제곡이 변주된...
    Date2019.12.22 Category문화읽기 Views6
    Read More
  2. R.I.P. Paco de Lucia

    루치아 형님께서 지난 2월 26일 타계하셨네요. 플랑멩코스타일 기타의 대가인 그분의 연주를 이젠 라이브로 볼 수가 없게 되었네요. 속도감있는 핑거링에 따뜻한 감성을 실어날으는 그의 음악은 두고 두고 제 롤 모델이곤 했는데.. 이제 같은 하늘 아래 있지 ...
    Date2014.02.27 Category문화읽기 Views2609
    Read More
  3. No Image

    Old Friends..

    81년 뉴욕 센트럴 파크에서 있었던 라이브 공연 이후 20여년이 흘렀습니다. 이제 환갑을 넘긴 할아버지가 된 사이먼과 가펑클은 2003년 팝 역사상 가장 뛰어난 듀오의 재결성을 알리는 라이브 공연을 이제는 무대 위에서 합니다. 이곡 오랜 친구들.. 그들의 ...
    Date2008.04.15 Category문화읽기 Views3290
    Read More
  4. No Image

    이번 월드컵에서 보고 싶은 것들..

    2002년 난 독일에 있었다. 먼 이국 땅에서 학위 중에 한일 월드컵을 만났다. 독일 유학생들 대부분이 그럴듯이 유일한 취미생활인 TV보기, 그리고 TV를 켜면 어김없이 화면을 가득 메우는 축구 경기들.. 덕분에 독일물 4-5년 먹게 되면 나름대로 해설가양인양...
    Date2006.06.08 Category문화읽기 Views2367
    Read More
  5. No Image

    다빈치 코드와 어느 거물(?) 목사님의 1인 시위

    한기총의 회장까지 지내신 분이 요즘 다빈치 코드 상영관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계신단다. 글쎄.. 솔직히 난 다빈치 코드의 영화성공에 대해서는 지극히 회의적이다. 본디 소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지라, 다빈치 코드도 말로만 듣고 있었는데.. 작년인가? ...
    Date2006.05.19 Category문화읽기 Views2640
    Read More
  6. No Image

    김민기.. "아빠 얼굴 예쁘네요.."

    우리 시대의 암울함은 한 위대한 예술인을 잃을 뻔하게 했습니다. 70년대 초 한국 대중 음악의 축을 바꿀만한 거장이 등장했지만.. 고작 데뷔 앨범 하나만 남기고 그는 유신 정권의 지독한 핍팍 속에 숨죽여 있어야만 했습니다. 그럼에도 그가 남긴 노래들은 ...
    Date2006.02.21 Category문화읽기 Views2929
    Read More
  7. No Image

    대초에 拍이 있었나니..

    모처럼 정돈된 부담이 미끌어진 지금.. 갈기는 한바탕 고함치며 즐거운 연주를 하고 싶어진다. 허나 서슬퍼런 나의 고답된 현실이 오늘도 그러한 갈증을 하나의 화석으로 앨범속에만 구속시키고 있다. "태초에 拍이 있었나니 그것이 곧 음악의 시작이니라~" ...
    Date2004.06.17 Category문화읽기 Views2393
    Read More
  8. No Image

    도올, 차력, 약장수?

    오늘 강의를 보는데.. 원 당췌 맞는 이야기를 해야 들어먹던지 말던지.. 하지 원.. 게다가 요즘 이 양반 종교비판을 하면서 기독교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도대체 이 양반 신학헀던 사람이 맞는지 모를 정도로 아주 수준낮은 지식만 나열하고 있더구만 ...
    Date2004.05.18 Category문화읽기 Views2589
    Read More
  9. No Image

    너무도 거친 그대의 말투는?

    계속된 시차적응실패로 인해 오늘도 새벽녘에 눈을 떴습니다. 대략 10시가 넘어 잠든 것 같은데.. 한참을 잤다고 생각했는데 두시 반쯤 되었더군요.. 대략 3주 정도 독일에 머물다가 왔는데.. 한국땅에 들어서서 가장 먼저 귀를 때리는 것은 상당히 우리가 사...
    Date2004.02.23 Category문화읽기 Views2405
    Read More
  10. No Image

    도올 선생의 첫 강의...

    역사란 무엇인가? 라는 다분히 고전적인 주제를 타이틀로 건 도올 선생의 첫강의는 내용상으로는 크게 건질 것은 별로없었다. 진보적 역사관의 비판이야 이미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서 이미 기존의 역사학자들 역시 충분히 이해하고 소화시키고 있는 부분이고,...
    Date2004.01.06 Category문화읽기 Views29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