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글
2023.10.26 12:58

과학 혹은 미신?

조회 수 1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데카르트와 뉴턴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습니다. 1596년 생인 데카르트에 비해 뉴턴은 1643년 생으로 한 세대 정도 늦기는 하지요. 흥미롭게도 두 사람 모두 <원리>(Principia)란 책을 펴냈습니다. 먼저 데카르트는 <철학 원리>(Principia philosophiae, 1644), 그리고 뉴턴은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1687)란 책을 썼습니다. 40 여 년의 시차로 출간된 두 사람의 책은 그런 점에서 묘한 상관 관계 속에 있다고 봐야 할 것이고, 무엇보다 뒤에 책을 낸 뉴턴이 데카르트를 심하게 '의식'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당시 유럽 지성계는 데카르트라는 거인의 체계 위에 서 있었습니다. 그걸 한 세대 후배인 뉴턴이 뒤집으러 기를 쓰고 있는 중이었구요. '질량을 가진 존재는 모두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고 생각한 뉴턴은 우주 천체의 운동을 데카르트보다 훨씬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의사이자 뛰어난 과학자요 철학자였던 데카르트는 지동설을 수용하며 천체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에테르라는 용매를 통해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그냥 쉽게 비유하여 해와 달, 그리고 뭇 별들 모두 에테르라는 액체 같은 존재 위에 둥둥 떠다니는 존재로 이해한 것입니다. 이런 설명 방식은 만유인력을 몰랐던 그 시절 입장에서는 천쳬의 움직임을 가장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라 생각했을 겁니다.

 

우주는 에테르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 위를 수영하듯 온갖 별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그 부양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어 서로 충돌하거나 간섭하지 않고 우주는 기묘한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는 생각.. 그것이 당시 가장 과학적인 세계 이해였습니다. 허나 거기에 뉴턴의 만유인력은 매우 미신적인 도발이 됩니다. 

 

아니 허공 위에 저 엄청난 덩치의 별들이 '떠' 있다니, 그리고 서로 끌어당기는 힘의 균형 속에 타원 형태의 회전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다니! 

 

이걸 어떻게 믿으라고 하는 것인지.. 당대 학인들 눈에 뉴턴의 우주관은 마녀의 그것과 다를 바 없었을 겁니다. 저 뭇 별들을 떠 받치는 용매가 있는 것도 아니고, 허공 속 별들의 유영이라니! 이런 미신을 케임브리지 대학의 수학자가 떠들어 대다니!!  이 새파란 애송이가 거인 데카르트의 저 합리적 설명을 뒤집으러 하다니!

 

이런 발칙한!!!! 

 

예, 뉴턴은 발칙했죠. 그러니 한 세대 전 위대한 사상가요 과학자의 책을 패러디했겠죠~ 

 

<철학 원리>를 넘어서는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 

 

그렇게 뉴턴의 패기는 데카르트를 정조준했고, 결국 그가 제시한 만유인력이 고전 역학의 기준이 됩니다. 뉴턴은 에테르라는 용매 위 천체의 운행은 종국엔 마찰력때문에 멈춤 현상이 수반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매우 수학적인 판단을 한 뒤였기에 그의 주장을 굽힐 일도 없었겠죠~ 

 

동시대 사람들에게 뉴턴은 허공에 별들이 떠다닌다는 주장을 한 미신적 존재였을 테지만, 지금은 고전 역학의 아버지라 칭송되고 있지요. 

과학이 미신이었다가, 다시 미신이 과학이 되는 지점입니다. 그러니 지금의 '생각'에 너무 집착하지 마세요. 지금의 생각이 때론 과학이나 언젠가 미신이 될 수도 있으며.. 지금의 미신이 훗날 적확한 과학의 이름으로 우리 앞에 서 있을 수도 있거든요. 

 

보다 탄력적인 생각을 갖고 세계를 응시하면, 보지 못했던 많은 것을 찾을 수 있을 겝니다.

368377028_7336625603031323_4617838181566369369_n.jpg

 


  1. '인문학', 그 낱말의 어려움?

    독일의 신진 철학자 본 대학의 마르쿠스 가브리엘이 쓴 <나는 뇌가 아니다>를 우리말 번역본과 독일어 원본으로 읽고 있습니다. 우선 우리말로 읽다가 조금 이상하다 싶으면 원문을 대조하는 방식으로요~ 우선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1980년 생으로 20대 후반에 ...
    Date2023.11.09 Category잡글 Views136
    Read More
  2. 과학 혹은 미신?

    데카르트와 뉴턴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습니다. 1596년 생인 데카르트에 비해 뉴턴은 1643년 생으로 한 세대 정도 늦기는 하지요. 흥미롭게도 두 사람 모두 <원리>(Principia)란 책을 펴냈습니다. 먼저 데카르트는 <철학 원리>(Principia philosophiae, 1644)...
    Date2023.10.26 Category잡글 Views102
    Read More
  3. 불멸의 헬라...

    불멸의 헬라...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요? 생명은 또 무엇인가요? 또 나의 본질은 어떤 건가요? 전에 이런 유의 질문은 철학자나 신학자의 영역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에 따라 저 같은 질문에 더 실효적 답변을 제시하는 분야는 요즘은 과학계인 것 ...
    Date2023.10.25 Category잡글 Views91
    Read More
  4. 27년간의 기록..

    미국 보스턴 칼리지 사진학과의 칼 바덴이라는 이름의 교수. 그는 지난 87년 재미있는 개인 프로젝트를 실행에 옮긴다. 사진학과 교수답게 매일 그의 얼굴을 사진에 담는 일이다. 지금까지 무려 27년을 그는 그 일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유투브에 24년간의...
    Date2014.03.02 Category잡글 Views3147
    Read More
  5. No Image

    혼자보내는 새해 첫날~

    하루가 늦게 시작된다. 9시쯤 눈을 떠서 난 한 날을 열었지만 10쯤 되어서야 막내와 아내가 눈을 뜬다. 큰 놈은 11시가 훌쩍 넘어 12시에 다가서서야 겨우 몸을 추스린다. 다들 처리한 아침 식사를 꼭 브런치로 만들어 때우는 놈이다. 밥이란 것을 몸으로 집어...
    Date2010.01.01 Category잡글 Views1415
    Read More
  6. No Image

    새해..

    나같이 완벽히 세속화에 성공한 이들에게 첫날... 이런 것은 참 거시기하다. 별다른 의미부여 없이 하루 하루를 성실하게 살아가는 나같은 이에게 2010년 1월 1일은 그냥 금요일일뿐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마찬가지로 2009년 12월 25일 역시 금요...
    Date2010.01.01 Category잡글 Views1373
    Read More
  7. No Image

    부활절 달걀의 유래는..

    해마다 부활의 날이면 어김없이 교회에서는 계란을 나눠줍니다. 제 기억에 어린 시절 받았던 계란은 주로 삶지 않은 것이었는데, 요즘은 대부분 익은 달걀을 주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부활절 계란 행사는 이벤트화 되어 교회마다 누가 더 멋지게 계란을 꾸몄...
    Date2009.04.15 Category잡글 Views4797
    Read More
  8. No Image

    갑갑한 세상, 최진실씨의 죽음을 보며

    이은주.. 정다빈.. 유니.. 안재환.. 최진실.. 무슨 시리즈처럼 이 땅의 꽤 잘나가던 연예인들이 죽어가고 있다. 그것도 스스로 목숨을 끊는 최악의 방법으로.. 특히나 20여년 톱탤런트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던 최진실씨의 죽음은 적잖은 이들을 외상후 스트레...
    Date2008.10.03 Category잡글 Views4236
    Read More
  9. No Image

    참돌고래의 장례식

    얼마전 한 방송국 뉴스 프로그램에서 참돌고래 동영상 하나를 소개하더군요. 그 장면은 죽어가는 동료를 몇마리의 돌고래들이 등으로 밀어 자꾸 해면 위로 올리는 장면이었습니다. 아시다시피 돌고래는 포유동물.. 허파로 숨쉬기를 하지요. 따라서 물밑에 장...
    Date2008.09.27 Category잡글 Views3335
    Read More
  10. No Image

    올림픽을 즐기는 선수들~

    여자 펜싱 개인전 에페경기 시상식대 위에서 있던 일입니다. 왼쪽부터 아나 마리아 브란사(루마니아, 은메달) 브리타 하이데만(독일, 금메달), 일디코 민츠카 네발드(헝가리, 동메달)입니다. 그림은 은메달을 딴 루마니아 선수가 독일선수의 금메달을 잠깐 렌...
    Date2008.08.23 Category잡글 Views22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